vue의 ref는 반응형(reactive) 상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능이다.
1. 반응형이란?
변수가 반응형인 경우, vue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1) template에서 {{ 변수명 }} 사용 → UI 자동 업데이트
- 변수가 반응형이 아닌 경우, 변수의 값이 변경되어도 UI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2) 관련된 computed 값 자동 재계산
3) watch로 변경 감지 가능
2. ref 사용 방법
1) 선언
//문자, 숫자
const stringNumberRef = ref('');
//boolean
const isTrue = ref(true);
//배열
const arrayRef = ref([]);
//객체
const emptyObject = ref(null);
const filledObject = ref({
key1: '',
key2: '',
key3: ''
});
2) watch와 함께 사용
watch(stringNumberRef, () => {
somefunction();
});
3) computed와 함께 사용
const computedValue = computed(() => {
filledObject.value.forEach(proc => {
key1: '1',
key2: '2',
key3: '3'
});
});
3. 주의점
ref()는 값을 반응형 Ref 객체로 래핑한 것으로, 실제 값은 ref 개체의 .value 속성에 저장된다.
템플릿 안에서는 자동으로 .value가 언래핑 되지만, 스크립트 내에서는 명시적으로 .value를 사용해야 한다.
'vu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 페이징 (0) | 2025.02.18 |
---|---|
[Vue] 기초 응용 key-value 객체 (0) | 2025.02.18 |
[vue.js] Vuex (0) | 2025.01.09 |
[vue.js] Reusability & Composition (0) | 2025.01.08 |
[vue.js] 컴포넌트 심화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