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독서노트

『회복탄력성』: 중요한 것은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

망고고래 2024. 4. 24. 16:21

2022년에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그 뒤에는 '중요한 것은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이 유행했다. 팍팍한 세상에서 마음이 꺾이지 않기가 힘들기 때문에 나온 말인 듯하다. 잠깐 좌절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한다는 것은 또 어떻게 보면 '꺾이지 않는 마음'인 것 같기도 하지만, 말은 아 다르고 어 다른 법이다. 전자가 힘들어도 약해지지 말자고 격려하는 느낌이라면 후자는 실패했다고 주저앉지 말고 계속 가자는 느낌이다. 나에게는 '회복탄력성' 개념이 이와 비슷하게 다가왔다.

 

 

심리학자 다니엘 캐니만
경험자아: 현재 내가 경험하는 것을 느끼는 자아
기억자아: 지나간 경험을 회상하고 평가하는 자아

- 이 두 자아의 판단은 대체로 일치하지 않는다.
- 미래 예측과 그에 따른 의사결정은 전적으로 기억자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 회복탄력성은 바로 이 기억하는 자아의 문제다. 기억자아는 자신의 경험에 끊임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자아다. 이 기억자아가 자신의 고난과 역경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긍정적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 바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자기조절능력(감정조절력+충동통제력+원인분석력)

(p.72) 회복탄력성을 이루는 요소인 자기조절능력의 기반은 자기이해지능이다. 높은 수준의 자기이해지능은 감정조절능력으로 나타난다. 감정조절능력은 압박과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평온함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감정과 주의력과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감정조절력은 분노나 짜증처럼 부정적인 감정을 억누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할 때면 언제나 긍정적인 감정을 스스로 불러일으켜서 신나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능력도 의미한다.

'필요할 때면 언제나 긍정적인 감정을 스스로 불러일으켜서 신나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능력'에서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가 생각났다. 저자 가바사와 시온은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임해야 엔돌핀이 분비된다고 말한다. 자기계발서에서 숱하게 나오는 긍정적인 사고와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말이 여기서도 반복된다. 여러모로 유익한 전략인 것이다.

https://mangowhale.tistory.com/212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요약 정리

도파민 도파민의 순기능 목표 달성 → 보상(도파민) → 의욕↑ → 목표 달성 → (이후 반복) 이 사이클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도파민이 지나치게 간단하게 얻어져서는 안 된다. 맛

mangowhale.tistory.com

 

창의성

기능적 고정성(functional fixedness)의 극복
창의성이란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는 '상상력'과는 다르다. 창의성이란 곧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며, 창의성이 높아야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업무 성취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강한 회복탄력성으로 역경을 극복해낸 사람들의 공통점은 자신에게 닥친 역경과 고난에 대해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능동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서 오히려 기회로 바꾸었다는 점이다. 역량을 오히려 기회로 바꾸어놓는 힘. 그 힘이 바로 기능적 고정성의 극복 능력이다.

창의성 향상 방법: 긍정적 정서 유발(코미디, 예상치 못한 사탕 선물 등)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면 긍정적인 정서가 유발된다. 그렇게 되면 창의성도 향상된다. 감사하는 마음이 만병통치약처럼 보인다.

 

원인분석능력

스토리텔링

세 가지 차원에 주목하기
- 개인성(모두에게 일어나는 일/나에게만 일어나는 일)
- 영속성(항상/어쩌다가)
- 보편성(모든 면이 다 그런가/그것만 그런가)

안 좋은 일은 나한테만 일어나고, 나는 항상 이렇고, 특정 상황이나 사람들은 모두 안 좋다고 생각하며 자기연민에 빠지기 쉽다. 그것도 냉정하게 따져보면 꼭 그렇지는 않다. 대부분의 일은 우연이 겹쳐서 만들어진다. 운이 좋지 않았을 수 있고, 내가 판단을 잘못했을 수도 있다. 잠깐 슬퍼했다가 원인을 분석하고 다음에 대비해야 한다.